아이 앞에서 부부싸움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나 살다보면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아이의 앞에서는 서로를 헐뜯는 것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부부가 서로 헐뜯고 욕을 하는 것은 그 피를 타고난 아이에게 “너는 나쁜 피를 물려받았다”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예로 남편에게 서운하거나 시댁과 갈등이 있을 때 엄마는 “너네 O씨 집안은~”이라고 표현한다.
이런 말들은 아이의 자긍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자긍심이나 자존감은 집안 전체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부부가 서로 빈정대며 “네 아빠는 어떻고”, “네 언니들은 하나같이” 등의 말이 아이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것은 아이가 ‘공부’까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낼 수 있다.
공부는 ‘자긍심’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아이가 자긍심을 가지는데에는 부모의 학벌, 직업, 좋은 집, 경제력 등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상 큰 자긍심을 심어주는 것은 부부가 화목하고 서로 존중하는 모습이다.
부모가 경제력이나 학벌을 중요한 가치로 강조하고 아이도 그런 것에 가치를 둔다면 그러지 못하게 될 경우 불행을 느낀다.
이런 아이가 시험을 망치거나 사업에 실패한다면 끝없는 나락으로 추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아이는 부모의 좋은 면만 배우는 게 아니라 나쁜 면도 습득한다.
“네가 뭐 제대로 할 줄 아는 게 있냐?”, “네 아빠가 돈이나 제대로 벌어오는 줄 아니?” 등 매번 부모가 이렇게 빈정된다 가정하자.
이런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친구가 큰 대회에서 수상해도 ‘걔는 과학을 정말 잘해. 걔가 과학고를 가야지’라고 생각하기보단 ‘다 사교육일거야. 돈을 얼마나 썼겠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즉, 남의 장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추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부가 사사건건 자신만 옳다고 서로 주장한다면, 아이 역시 공부를 하다가 틀렸을 때, 올바른 방법을 찾기보다 계속 자신만 옳다고 고집스러워질 가능성이 높다.
즉 잘못된 것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부부간 의사소통 방식은 아이도 학습을 하게 된다.
그래서 서로를 감사하고 살 줄 아는 부부 아래 자란 아이는 부모한테도 그런 마음을 가지게 되지만, 서로를 헐뜯고 사는 부부 아래서 자란 아이는 그런 마음으로 살게 된다.
잘 살기 위해서는 지식이나 정보, 상식도 중요하지만 문제 해결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문제를 해결하고 처리하려면 논리적인 사고도 필요하지만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갈등을 잘 풀어나가는 것을 배워야 한다.
아이가 기본적인 자세를 배우는 가장 가까운 대상이 부모다.
부모가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기는 커녕 매일같이 비난하고 갈등하면서 아이보고 문제를 잘 풀라고 하는 것은 매우 모순적이다.
따라서 부부는 아이를 ‘고집불통’으로 만들고 싶지 않다면 먼저 자신들의 의사소통 방식을 돌아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