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때문에 연일 뿌연 하늘이 계속되고 있다.
미세먼지로 가득 찬 하늘을 보다보면 흡사 ‘재난 영화’를 연상시키기 까지 한다.
이 때문에 최근 공기청정기, 미세먼지 마스크 등 ‘미세먼지 방지 물품’을 구비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일반 마스크보다 성능이 좋은, 초 미세먼지를 차단해준다는 기능성 마스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마스크가 미세먼지를 차단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지면서 충격을 안기고 있다.
그 중에서는 ‘미세먼지 마스크’로 널리 알려진 KF 94 등급에 해당하는 N95 마스크도 포함돼 있다.
프랑스 식품환경위생노동청(ANSES)의 전문가 위원회는 최근 ‘대기 환경과 관련된 위험성 평가’ 연구를 진행했다.
이 위원회는 2016년부터 2년간 프랑스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마스크 기종을 기준으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시행된 미세먼지 차단율과 마스크 효과 관련성 연구를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실험실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오염물질을 차단하던 마스크가 실제 사용 조건에서는 그만한 효과를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들은 “일상 생활에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이점을 가지는지 평가하고자 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고 발표했다.
특히 N95마스크 착용 여부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는 임상 연구도 있었으나 이는 심혈관 기능의 차이를 비교하는 제한된 연구 였으며, 이 같은 연구로는 실생활에서 마스크 효과성을 일반화 할 수 없다는 입장도 밝혔다.
실험실에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차단율이 95~99%에 이르러도 실제 사용환경에서의 효과는 60%대, 심지어는 0%까지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시중에 구하는 마스크들이 사람들의 안면 윤곽에 100% 맞지 않기 때문에 생긴다.
마스크가 제대로 맞지 않아 마스크 사이에 틈이 생기면 마스크를 착용해도 대기 중 유해물질을 그대로 흡입하게 된다.
즉, 아무리 좋은 성능의 마스크를 착용해도 이를 얼굴에 밀착해 제대로 착용하지 않으면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ANSES는 “마스크 사용 권고가 공기 중 유해물질에 장시간 노출돼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전문가들도 이들과 비슷한 의견을 밝혔다.
서울대학교 의대 예방의학과 홍윤철 교수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떈 외출을 자제하는 등 미세먼지와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외출할수록 몸 속에 미세먼지가 더 많이 싸인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