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Categories: 건강라이프

“간헐적 단식과 탄수화물 제한 식이로 ‘당뇨병’ 억제할 수 있다”


당뇨병이 없는 정상인으로부터 공복때 ‘케톤뇨’가 나오는 것은 그렇지 않은 정상인보다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아주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조남한 교수,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김규리 교수가 진행한 연구에서 당뇨병이 없는 정상인으로부터 케톤뇨가 나오는 경우 그렇지 않은 이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37%가량 더 낮게 나타났다.

ADVERTISEMENT

기사와 연관 없는 사진 / pixabay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당뇨병연구학회 공식학술지인 당뇨병학(Diabetologia) 최신호에 나왔으며, 5월 에디터스 초이스로 선정되었다.

ADVERTISEMENT

케톤체는 지방산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기는데, 우리 몸에서 뇌, 심장과 골격근 등에서 에너지원으로 쓰인다.

몸의 지방세포 내 지방 성분이 많이 분해될수록 혈액 안에 케톤체가 증가한다.

기사와 연관 없는 사진 / pixabay

최근 체중관리를 위해 간헐적 단식이나 탄수화물 제한 식이요법, 장시간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것은 체내 케톤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ADVERTISEMENT

그동안 제1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부족으로 생기는 케톤산혈증의 위험성은 잘 알려져 있었다.

특히 제1형 당뇨병의 경우 케톤산혈증이 발생하면 케톤체가 과다히 생성(12mM 이상)되어 체액이 산성으로 변하는데 이는 당뇨병성 혼수로 이어질 수 있다.

ADVERTISEMENT
기사와 연관 없는 사진 / pixabay

정상인은 혈중 케톤체 농도가 0.2~5mM에 해당한다.

그러나 당뇨병이 없는 정상인에서 케톤뇨가 당대사나 당뇨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없다.

ADVERTISEMENT

연구팀은 질병관리본부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사업(KoGES)에서 안성·안산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자료를 분석했고, 당뇨병이 없는 8,703명의 정상 성인 인구(40~69세)의 195명(2.2%)이 8시간 공복 상태에서 케톤뇨를 보는 것으로 확인했다.

ADVERTISEMENT

공복시 케톤뇨가 나오는 정상인의 경우 체질량지수는 23.6 kg/m2였고, 체지방량은 15.5kg였다.

그렇지 않은 정상인의 체질량지수는 24.5 kg/m2였고, 체지방량은 17 kg였다.

콜레스테롤 수치 (LDL 콜레스테롤 3.0 mmol/L VS 3.1 mmol/L)와 혈중 인슐린 수치(공복 인슐린 52.8 pmol/L VS 43.1 pmol/L)로 케톤뇨가 나오는 정상인들이 그렇지 않은 이보다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ADVERTISEMENT
기사와 연관 없는 사진 / pixabay

연구팀은 케톤체가 나온 195명과 케톤체가 나오지 않은 8,508명을 1:4의 비율로 나이와 성별, 체질량지수 등당뇨병 위험요소를 보정해서 매치해봤다.

ADVERTISEMENT

그리고 대상군을 12년간 추적해 조사한 결과 케톤체가 검출된 정상인의 경우 케톤체가 나오지 않은 이에 비해 당뇨병 발생 위험이 37%나 낮은 것으로 파악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혈당과 대사지표도 분석했고, 공복 혈당의 경우 양쪽 모두 12년간 점차적으로 증가했지만 케톤체가 나온 정상인군에서 식후 혈당검사 수치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을 발견했다.

ADVERTISEMENT
기사와 연관 없는 사진 / pixabay

식후 혈당수치가 낮다는 것은 혈당의 조직내 흡수와 이용이 원활해 당뇨병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는 뜻이다.

ADVERTISEMENT

인슐린 저항성 수치의 경우, 12년간 양 쪽에서 유의미한 차이 없이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인슐린 분비 기능은 케톤뇨가 나온 정상인이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에 대해 이용호 교수는 “당뇨병이 없는 정상인에게서 케톤뇨가 나오는 경우 다른 주요 당뇨병 위험인자와는 별개로 당뇨병 발생 위험이 줄어들었다. 정상인에게서 공복 케톤뇨가 나오는 경우 당대사적으로 유리하고 당뇨병 예방 가능성도 높다”고 전했다.

ADVERTISEMENT

이어 “간헐적 단식이나 저탄수화물 식이, 자연적 케톤뇨 등과 당뇨병 간의 연관성을 연구해볼만한 단서를 제공했다. 이번 연구로 케톤체 생성에서 수반되는 대사적 변화나 생성된 케톤체 자체의 다양한 기능을 비롯해 공복 케톤뇨의 여부가 당뇨병 발생 위험을 낮추는 지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