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사람 또는 정기적으로 병원을 다녀햐 하는 환자들은 서울에만 있는 것이 아니지만 의사들은 서울에 집중적으로 쏠려 있다.
여러 지역에서 거액의 연봉을 주면서 스카우트를 하려고 해도 잘 되지 않는 현실이 전해졌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에서 일할 의사를 국비로 길러내는 공공의료 전문대학을 정부가 추진하고 있지만 이를 의료계가 반대하고 나섰다.
지난해 12월 충남 서산의료원은 서울대병원 의사들을 파견받는 업무 협약을 맺었다.
지속적으로 의사가 부족한 지역에 우수한 의료진이 온다는 사실에 지역의 기대도 컸지만 파견 전문의 5명 중 3명이 6개월도 안돼 그만두고 지역을 떠났다.
노인이 많고 자살률이 높다는 지역 특성에 맞춰 야심차게 개설한 정신의학과와 신경과, 호흡기내과는 문을 열자마자 사라졌다고 전해졌다.
서산의료원 관계자는 “환자는 많고 환경은 좋지 않고. 오려고를 안 해요. 안면도에서 새벽 차 타고 한 달 만에 약 타러 오시다 보니까 (의사 없어졌다고) 대노해 가지고 막…”라고 말했다.
목포의료원도 마찬가지의 현실로 무려 연봉 3억 원을 제시하며 의사 모시기에 나섰지만, 단 한 명의 지원자도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16개 진료과목 가운데 응급의학과 등 5개 과는 병역대체 복무중인 공중보건의가 맡고 있다.
재활의학과는 공중보건의조차 없다고 한다.
목포의료원 관계자는 “공중보건의가 다시 나온다는 보장을 못 하니까. 항상 불안하죠. 채용하고 싶어도 의사가 없으니까. (연봉은) 의사 선생님들이 부르는 게 값이죠.”라고 밝혔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를 따져보면 서울은 3백명인 반면 울산이나 충남, 경북은 그 절반도 안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사 수를 늘리는 노력도 있었지만 의료계 반대로 의대 정원은 12년 째 동결돼있다.
이러한 의사의 서울 집중현상을 해결해기 위해 정부는 지역에서 10년 이상 의무 복무할 의사를 국비로 양성하는 공공의대 설립 방안을 내놨다.
최근 폐교한 서남대 의대 정원 49명을 공공의대 정원으로 전환하겠단 계획을 알렸다.
하지만 관련 법안은 의사 양성이 부실화될 거란 대한의협의 반대와 왜 하필 남원에 짓느냐는 국회 복지위 일부 의원들의 발목잡기로 무산될 위기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김명연 의원은 “제 3의 장소에 땅을 사서 학교를 지어서 의대를 세우는 거예요. 공공의료 대학원은 지역사업으로 접근할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20대 마지막 정기국회는 오는 10일까지이며 복지부는 임시국회가 열려서라도 법안이 통과되길 기대하고 있지만 통과의 가능성은 알 수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