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가 도련님 이병철이 흙수저 출신 정주영에게 열등감 가지며 평생 부러워했던 한 가지
정주영과 이병철은 대한민국 재계를 대표하던 두 양대산맥이었다.
라이벌리를 형성했던 두 명은 출발선부터가 아주 달랐다.
이병철은 지역 유지 양반가문 도련님으로 일본 와세다대학에 유학한 후
(막상 공부에 흥미가 없었는지 도중에 중퇴하고 일본 구경만 실컷 즐기다가 귀국함)
집안에서 부쳐주는 돈으로 유유자적 인생을 즐기다가
대구에 자기 사업체를 마련했고(삼성상회)
정주영은 빈농의 아들로 교육을 받지못한 무학이었으며
아버지가 소를 판 돈을 도둑질해서 서울로 올라와서 일한 가게에서
성실성으로 주인을 감동시켜 원래 주인 아들이 물려받을 가게를 정주영에게 물려주었다.
한겨울에 녹색 잔디를 깔라는 미군의 요청을 받자
잔디 대신 녹색보리로 쫙 깔아서 이후 미군의 수주를 독점하게 된 일화는 유명하다.
말하자면 이병철은 이미 물고 태어난 금수저를 다이아수저로 바꾼 셈이고
정주영은 밑바닥부터 하나하나 미션을 깨듯이 살아오며 올라간 자수성가의 아이콘이다.
정주영은 이병철의 타고난 부와 느긋한 여유로움을 부러워했고
일본 명문대 유학까지 다녀온 이병철 앞에 설때마다 무학인 자신의 학력에 컴플렉스를 느꼈다.
심지어 삼성은 ‘반도체’라는 새로운 산업을 개척하며
정주영의 현대를 점점 따라잡으며 80년대 후반부터는 대한민국 대표 기업이 되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그 잘난 이병철도 정주영한테 열등감을 느끼고 부러워하는게 있었으니…
아들을 서울대에 보냈다는 것이다 (6남 정몽준)
우리가 아는 그 고시원 체험에 버스비 50원 정몽준 맞다.
무학의 학력이 평생의 열등감이었던 정주영의 한을 풀어주었고
동네방네 잔치를 하며 자랑하고 다녔다.
(이방원이 집안 최초로 과거 합격했을때 이성계가 보였던 반응이 데자뷰된다)
반면 이병철의 자식은 서울대 갈 정도의 공부머리는 없었던 모양이다.
‘왜 우리 집안엔 서울대 간 사람이 없냐’고 한탄을 했다는 일화는 유명하고
아들들은 주로 와세다대학을 많이 갔는데
‘서울대를 못 가면 일본으로 대학가라’는 의중 때문이었다고 함
이건희도 아주 어린시절부터 일본 유학을 시켜서 일본어를 네이티브급으로 잘한다
결국 이건희는 아들 이재용을 서울대 동양사학과에 보내는 데 성공하며
이병철 회장 소원을 손자 세대에서 비로소 풀어주었다.
경기초-청운중-경복고
[저작권자 NEWSNACK/ 무단복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반 시 법적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