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기 전에 문뜩 떠오른 흑역사의 기억으로 이불킥을 해본 사람들이 꽤 많이 있을 것이다.
화나는 기억, 슬픈 기억, 창피한 기억 등 지우고 싶은 기억을 하나 이상은 모두가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최근 나쁜 기억을 지울 수 있다는 연구가 공개되어 큰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난 7일 카이스트 김세윤 교수의 연구팀이 공포기억 소거 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했다.
김세윤 교수의 연구팀은 뉴욕대, 콜롬비아 의대와 존스 홉킨스 의대와 공동연구하여 밝혀낸 사실에 의하면 뇌의 흥분성 신경세포에서 이노시톨대사효고를 제거하여 공포기억을 조절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노시톨대사효소란 음식으로 섭취하거나 생체 내에서 합성된 포도당 유사물질인 이노시톨을 인산화(어떤 물질에 인산이 붙는 화학반응)해주는 효소이다.
실험쥐에게서 이 효소가 제거하였더니 공포기억의 소거 반응을 전달하는 신호 전달계가 편도체에서 활성화 됨을 확인했다.
오늘날 신경생물학은 기억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지워지는지가 최대의 핵심주제인 만큼 이번 발견은 큰 중심화제가 되고있다.
이노시톨대사효소는 원래 세포 성장이나 신진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져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뇌기능 조절에도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험쥐에게 강한 소리자극과 전기자극을 주어 강력한 공포기억을 학습시키고 이후 전기 자극없이 소리자극만 반복적으로 가하여 공포기억에 대한 반응이 서서히 줄어드는 것을 ‘공포기억의 소거’라고한다.
이런 실험쥐의 흥분성 신경세포에서만 이노시톨대사효소를 제거하자 공포기억의 소거 반응이 촉진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이 이노시톨대사효소가 제거된 생쥐의 편도체에서 공포기억의 소거 반응을 전달하는 신호전달계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결고 인해 공포증이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