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매뉴얼’
1432년(세종 14년)4월 21~22일 세종대왕이 깜짝 놀랄 일이 벌어졌다.
극심한 전염병으로 백성들의 신음소리가 궁궐까지 닿자 세종대왕은 “대규모 인력이 동원되는 토목ㆍ건설공사를 중단하라”라는 명을 내렸다.
그것에 그치지 않고 세종은 관리들이 제대로 환자들을 구호하는지 혹 생명이 위태로운 자가 있는지 사람을 시켜 알아봤다.
간단히 말하자면 세종대왕이 직접 컨트롤타워가 되어 감찰단을 파견하고 관리들의 전염병 대책에 잘못이 있는지 낱낱이 파악했던 것이다.
그 결과 소격전(도교 주관의 제사 관장 부서)을 살피던 감찰단원의 보고가 세종의 억장을 와르르 무너뜨렸다.
“소격전 소속 여종 복덕은 시각장애인인데, 굶어죽게 생겼습니다. 복덕은 아이까지 안고 있었습니다”
화들짝 놀란 세종은 소격전과 한성부 북부지역(북부령) 책임자 등 관리 2명을 문책하여 형조에서 심문하도록 하고 복덕에게 쌀과 콩 각 1석을 하사했다.
그 지시는 일회성으로 끝난 것이 아니고 “복덕이 내가 내린 쌀을 다 먹은 뒤에는 또 굶은 것 아니냐”며 “앞으로 복덕과 같은 백성은 그의 족친에게 맡기거나, 족친 마저 없다면 해당 관청(소격전)이 끝까지 책임지고 구호해야 한다”는 명을 내렸다.
그리고 세종의 전염병 대책은 괜히 ‘디테일 세종’이라는 소리를 들었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국 초기이기에 제도가 확립되지도 않았었다.
1434년(세종 16년) 전국에 전염병이 돌자 세종은 처방문까지 일일이 써서 전국에 배포했다.
“내가 의서에 써있는 처방과 약방을 뽑아 적어 내린다. 수령들이 집마다 찾아다니며 알려주고 정성껏 치료해주라. 백성을 긍휼히 여기는 과인의 뜻을 저버리지 마라”(<세종실록>)
처방문에는 매우 다양한 요법이 다 등장하는데 눈에 띄는 것은 요즘의 코로나19와 같은 급성전염성 질환이 번질 때의 대비책도 포함했었다.
그리고 세종은 “죽을 각오로 백성들을 관리하라”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리고 전염병으로 죽을 처지에 빠진 백성들을 직접 구휼했다.
1434~35년 사이 전염병으로 죽은 함경도 백성이 3262며에 이른다는 보고를 받고 면포 5000필을 급하게 나눠줬고 1437(세종 19년)에는 굶주린 백성들이 한성부 내 두 곳에 마련된 진제장(굶주린 자들의 무료급식소)마다 1000명씩 몰려들었다.
굶주린 백성들을 위해 배불리 먹이려했던 것이 화를 불러 급식소에 모인 백성들을 덮쳤고 사망자가 속출하는 일이 벌어졌다.
세종은 가슴을 치면서 “대체 지금 이곳에서 사망자가 왜 속출했는지 그 사유를 낱낱이 기록하라”는 명을 내렸다.
세종은 분산 수용소의 관리를 중앙 및 서울의 5개 관청 공무원들에게 맡겼고 그 이유는 책임소재르 분명히 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면서 세종은 “백성들을 나눠 관리하도록 하는데, 만약 백성 한사람이라도 죽게되면 관리책임자는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그 말인 즉슨, 죽을 각오로 임해 백성들을 관리하라는 뜻이었다.
(중략) 원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