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CJ 대한통운이 자사 1만 2,000명에 달하는 택배기사들의 평균연봉을 공개했다.
이들의 연평균 연봉은 6,937만 원으로 통계청이 조사했던 국내 개인사업자 연평균 사업소득 4,290만 원을 훨씬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연봉이 1억이 넘어가는 택배기사도 무려 559명(4.6%)나 있었다.
이러한 소식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택배기사들의 ‘반전’ 연봉으로 큰 화제가 되었다.
그런데, 택배기사 노조는 “실제로 CJ의 발표보다 매달 100만 원이 적다”라고 주장하고 있어 실제 CJ 대한통운의 발표대로 택배기사는 ‘고연봉 직종’인지 의문이다.
지난 2일 업계에 의하면 택배기사가 얻는 수입은 두 부류로 나뉜다.
고객에게 물건을 배송할 때 발생하는 배송 수수료 수입과 고객으로부터 배송할 물건을 받을 때 생기는 집화 수입이다.
배송 수수료는 물건 크기에 따라 다르나 개당 7~800원 수준이며, 집화는 물량에 따라 배송료의 10~30%에 달한다.
특히 집화는 기사가 영업을 직접 따올 수도 있어 배송을 많이 이용하는 기업을 거래처로 확보하면 적지 않은 수입을 얻을 수도 있다.
물론 수익은 모두 건수로 계산된다.
맡은 지역과 배송 숙련도, 경력에 따라 기사별 수입도 천차만별이다.
한편 지난 3월 한국교통연구원이 발표한 ‘2017 화물운송시장 동향’에 의하면 택배 기사의 2017년 월평균 수입은 347만 원(연 4,164만 원)이었다.
택배 기사 한 명이 수도권의 경우 하루 평균 258건(배달 191건, 집화 75건)을 처리했고 상대적으로 물량이 적은 광주권은 하루 143건(배달 139건, 집화 9건)을 처리했다.
택배 기사는 보통 지역 대리점과 개인적으로 계약을 맺고 물건을 배송한다.
배송에 대한 수익을 받고 유류비(유가보조금 혜택 포함), 통신료, 차량 관리비, 보험료 등을 개인적인 비용으로 처리한다.
업무 관련 월 평균 지출액은 약 94만 8,000원이었다.
택배 기사의 업무 시간도 법정 근로시간인 하루 8시간을 넘었다.
평균 집배송업무 시간은 하루 평균 8.2시간이었으나 서류작업이나 영업 등 집배송 외 업무 평균시간을 더하면 12시간 15분이었다.
그렇다면 CJ 대한통운이 발표한 평균 연봉은 사실일까?
대한통운 측은 사내 회계시스템에 의한 통계라 “정확한 수치”라고 말한다.
또한 유류비, 통신비, 세금 등 택배기사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비용을 제하면 5,200만 원 안팎으로 추정했다.
물량이 많은 지역을 맡고 있는 기사가 개인적으로 아르바이트를 고용한다면 그만큼 비용은 추가될 수 있다.
다른 회사의 경우 “CJ 대한통운이 배송 밀집도가 높아 타 택배사에 비해 배송 건수가 많고 물량도 많다”며 “임금을 따로 조사한 적은 없으나 대한통운 택배기사 임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사실이다”라고 전했다.
국토교통부에 의하면 국내 택배시장 85.5%를 5개 대형사인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한진택배 등이 점유하고 있다.
그중 CJ의 경우 2017년 기준으로 45.5%의 점유율로 2,3위를 각각 차지하고 있는 롯데(12.6%)와 한진(12.2%)가 비교했을 때 격차가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다보니 배송 물량은 자연스레 늘어나고 타 택배사에 비해 기사의 수익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CJ 대한통운이 발표한 연봉에 각 대리점이 개인 택배기사로부터 운영비 명목으로 걷는 수수료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있다.
전국택배연대노조 측은 “대한통운이 다른 택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은 건 사실이나 대리점이 걷는 수익의 5~30% 수수료를 제외시켰다. 택배기사가 실질적으로 사측의 지시를 받고 있음에도 회사는 특수고양에 따른 개인사업자라는 입장을 뒷받침하려고 나온 부풀려진 결과다”라고 말했다.
반면 CJ 측은 “대리점이 걷는 수수료는 유류비, 차량 등 개인 택배기사를 지원하는 수준에 따라 다르게 측정된다. 대리점 80~90%가 수익에서 10~15%를 수수료로 걷고 있는데 30%대라는 노조 측의 주장은 지나치다”라고 반박했다.
또한 “택배기사가 연봉이 낮고 열악한 직종이라는 인식이 강한데, 그런 편견을 깨려고 임금을 공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