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Categories: Daily top 10건강국제라이프사람들사회이슈커뮤니티핫이슈

“학교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 뇌 신경 활동 패턴 다르다” 연구 첫걸음


학교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뇌와 관련한 연구결과가 나와 시선을 집중 시켰다.

ADVERTISEMENT

 

학교 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는 얼굴 감정표현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는 뇌 패턴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전해졌다.

 

보고에 따르면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청소년기를 거치는 학교 폭력의 피해자나 가해자를 직간접으로 경험한다고 한다.

 

익산열린신문

 

ADVERTISEMENT

그리고 이러한 경험은 우울감, 불안감 등 정신적인 고통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고통을 줄이기 위해 또래 폭력 사건들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다.

 

그리고 최근 국제학술지 ‘사회인지 및 감정 신경과학(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저널’에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뇌를 관찰한 연구 논문이 실려 시선을 모았다.

ADVERTISEMENT

 

삼성서울병원

 

해당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연구팀이 진행했으며 화를 내거나 두려움을 표하는 얼굴 표정에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가 서로 다른 뇌 반응을 보인다는 점을 발견했다.

ADVERTISEMENT

 

연구팀은 12~15세 청소년 49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간 학교폭력을 당했거나 이와 반대로 폭력에 가담한 경험을 물었다.

 

이번 연구는 물리적 폭력이 아닌 어폭력, 소외 등 따돌림 형태의 폭력만을 대상으로 했다.

ADVERTISEMENT

 

슬로우뉴스

 

그리고 연구팀은 실험참가학생들에게 행복, 분노, 두려움 등의 얼굴 표정 사진을 보여주었으며 청소년들이 사진을 보는 동안 fMRI(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로 뇌를 스캔했다.

ADVERTISEMENT

 

연구팀은 뇌의 편도체 영역 활성 패턴에 특이점이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온라인 커뮤니티

 

ADVERTISEMENT

편도체는 위협을 감지하는 능력과 연관이 있는 뇌 부위다.

 

학교 폭력의 피해자들은 화가 난 얼굴 표정에 편도체 활성도가 컸으며 두려운 표정에 높은 편도체 민감도를 보였다.

 

또한 두 가지 활성도가 모두 높다는 특징을 보이기도 했다.

ADVERTISEMENT

 

Promises Treatment Centers

 

반면 학교폭력 가해자들은 화가 난 얼굴 표정을 볼 때 편도체 활성도가 평균 이상을 보였으며 두려운 표정에 대한 활성도는 낮았다.

ADVERTISEMENT

 

이를 통해 연구팀은 학교폭력에 어떤 형태로 노출됐느냐에 따라 뇌의 신경 활동 패턴에 차이가 생긴다는 점을 도출했다.

 

화난 얼굴에 대해 강한 편도체 반응을 보이는 청소년은 애매모호한 상황에서 상대방을 적대적으로 인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연구팀의 분석으로 전해졌다.

ADVERTISEMENT

 

온라인 커뮤니티

 

또한 두려운 표정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면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공감능력이 낮을 것으로 설명했다.

ADVERTISEMENT

 

연구팀은 이러한 두 가지를 지닌 청소년이라면 학교폭력의 가해자 입장이 되기 쉽다고 봤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샘플 규모가 작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학교폭력에 관련한 연구의 실마리가 된다는 점에서 향 후 큰 규모의 추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