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Categories: 사람들사회이슈커뮤니티핫이슈

아기와 침팬지를 함께 키워봤더니 생긴 소름돋는 최후


아기와 침팬지를 함께 키워봤더니 생긴 소름돋는 최후

ADVERTISEMENT

자연과 문화중 어린아이의 발달에 어느게 더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었던 1931년 심리학자인 윈스롭 켈로그 박사는 “침팬지를 사람처럼 키우고 먹이고 가르치고 대우한다면 침팬지가 사람이 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이에 직접 실험을 해보기 위해서 구아라는 이름의 아기 침팬지를 집으로 데려왔고, 10개월 된 아들 도널드 켈로그의 동생으로 삼아 아들을 대하듯 같은 식탁에서 식사를 하게 하고, 같은 방법으로 양육했다.

ADVERTISEMENT

이렇게 가은 환경과 같은 조건으로 자라게 된 침팬지와 인간 아기의 결과는 어땠을까.

먼저 윈스롭 박사는 실험 기간 날마다 키와 몸무게, 혈압을 재고 지각과 운동기능을 시험했다. 심지어 두개골 차이까지 기록하기 위해 머리를 두드렸을 때 어떤 소리가 나는지도 알아봤다.

ADVERTISEMENT

충격적인 것은 인간인 도널드보다 침팬지 구아가 같은 조건에서 인간 환경에 더 적응을 잘했다.

즉 더 나은 모습을 보인 것이다.

ADVERTISEMENT

구아는 도널드보다 먼저 대변을 가리고 말을 더 잘 따랐고 입맞춤으로 용서를 청하는 행위까지 했다.

도널드는 구아처럼 대변을 가리거나 하는 등의 일을 못했다.

하지만 한 가지 능력은 우세했다.

모방 능력.

ADVERTISEMENT

구아가 장난감을 발견하고 가지고 놀면 도널드는 구아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행위를 했는데 이를 두고 박사는 또 고민이 생겼다.

ADVERTISEMENT

도널드가(또래 아이들과는 달리)언어적인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는 것인데, 당시 19개월의 도널드는 사용할 줄 아는 낱말이 세 개뿐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실험을 종료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생기는데, 말을 하지 못하는 구아는 배가 고프면 짖는 소리를 내어 음식을 달라고 한 것을 본 도널드가 똑같이 따라했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해당 사건은 매드사이언스북에서 다뤘는데 해당 책의 저자는 “아마 침팬지가 인간처럼 자란 것이 아니라 반대로 아이가 침팬지처럼 자랐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라고 설명했다.

실험이 종료되자 구아는 동물원으로 보내져 어미를 만났는데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결국 죽고말았다.

ADVERTISEMENT

반대로 다시 인간 친구들과 어울리게 된 도널드는 언어 능력이 빠르게 향상되었고, 나중에 하버드대학 의대에 진학해 정신과 의사가 되었으나, 부모가 죽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42세)

ADVERTISEMENT

[저작권자 VONVON/ 무단복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반 시 법적조치)]